본문 바로가기
호주 뉴스

호주 GDP대비 가계부채 5년새 15%P 급등…"경기침체 조짐"

by 호호니 2017. 6. 29.

 

 

모건스탠리가 호주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모건스탠리의 대니얼 블레이크 전략가는 25일(현지시간) “소비자들이 물건을 더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곳을 찾기 시작했다”면서 “가계 소비에 의미있는 둔화가 나타날 조짐이 보인다”고 말했다. 가계가 소비를 줄이게 된 데에는 실질임금이 하락한 반면 가계부채 부담은 늘어났기 때문이다. 호주 가계 대다수는 부동산 상승세에 힘입어 투자 목적이든 소유 목적이든 집을 사기 위해 대출을 받았다. 이는 호주 중앙은행(RBA)이 오랜 기간 금리를 낮게 유지한 영향이 크다. 특히 지난 해 8월 이후에는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인 1.5%로 유지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호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23.1%로 4년 만에 15%포인트 급등했다.  

하지만 경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으면서 실질임금은 오히려 뒷걸음질쳤다. 또 월급은 그대로인데 공공요금 등은 오르면서 생활비 부담이 커졌다. 뉴사우스웨일즈주(州)의 경우 다음 달부터 전기요금을 무려 20%나 올릴 예정이다. 결국 ‘허리띠를 졸라매는’ 가계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다시 말해 소비가 위축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다. BIS는 “오랜 기간 가계부채가 GDP 성장률을 웃돌았다”면서 “이는 재정 압박에 대한 강력한 조기 경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비 위축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경제 성장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덧붙였다. BIS는 “GDP 대비 가계부채가 1%포인트 상승하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0.1%포인트 낮춘다”고 경고했다.  

RBA도 지난 4월 주택담보대출자 중 3분의 1 가량이 1개월분 대출 이자를 상환할 만한 충분한 여력을 확보하지 못했거나 충격을 받았을 때 위험을 감당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자의 약 25%가 원금 일시상환 대출을 받은 터여서 향후 가계부채가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지난 19일 호주 4대 은행의 장기 신용등급을 ‘Aa2’에서 ‘Aa3’로 강등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무디스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1조1500억달러(한화 1305조원)에 달하는 대출시장의 잠재 리스크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결국 호주 금융당국은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은행들의 대출 기준을 강화하는 등 가계부채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최근 호주의 가계부채 증가세가 경기 개선시 나타나는 임금 및 소비자 물가 상승 등을 동반한 것이 아닌데다, 그 규모마저 막대해서다.

 

 호주, 애교 많아서 해고된 경찰견

 

호주, 애교 많아서 해고된 경찰견

호주에서 '애교가 너무 많아서' 경찰견에서 해고된 강아지가 적성에 맞는 새 직업을 찾았다고 ABC뉴스 등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벨은 조그맣던 시절 호주 동부 브리즈번의 퀸슬랜드 경찰��

hojunews.tistory.com

호주, 시간당 최저임금 3.3% 인상…$18.29

 

호주, 시간당 최저임금 3.3% 인상…$18.29

세계 최고 수준인 호주의 시간당 최저임금이 다음달 1일부터 3.3% 올라 18.29 호주달러(1만5천300원)가 된다. 호주 공정근로위원회(FWC·이하 위원회)는 6일 시간당 최저임금을 현행 17.70 호주달러에서

hojunews.tistory.com

 호주, 불법체류자…"한국인 2천여명"

 

호주, 불법체류자…"한국인 2천여명"

호주에 불법체류 중인 외국인은 모두 6만4천여 명이며 이 중에는 한국인도 2천 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이민부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호주 내 불법체류자는 6만4천600 명으로 파악됐으며

hojunews.tistory.com

 호주, 정치인 보수 인상..."맬컴턴불 총리 52만7천852달러"

 

호주, 정치인 보수 인상..."맬컴턴불 총리 52만7천852달러"

총리를 비롯한 호주 정치인들이 보수 인상으로 국민들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임금인상 폭이 사상 최저 수준일 정도로 임금이 정체 상태에 있고 국가 부채는 쌓이고 있으며, 특히 법 ��

hojunews.tistory.com

 

 

댓글